티스토리 뷰

Javascript

Javascript 기초(2)

GYChoi 2022. 1. 25. 20:17

데이터 타입(자료형)

변수에는 여러가지 유형이 들어갈 수 있다. 프로그램 언어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타입이라고 한다. 데이터 타입에는 숫자, 문자열, 논리값, 특수값, 심벌, 객체, 배열, 함수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데이터 타입 유형

설      명

숫자(Number) 숫자(Number) 데이터는 단어 의미 그대로 숫자를 의미한다. 만약 큰따옴표가 숫자를 감싸고 있다면 숫자가 아닌 문자형 데이터이다.
문자열(String) 문자열(String) 데이터는 문자나 숫자를 큰따옴표("") 또는 작은 따옴표('')로 감싸고 있다. 또한 문자형 데이터에 HTML 태그를 포함하여 출력하면 태그로 인식한다.
논리값(Boolean) 논리값(Boolean) 데이터는 true(참) 또는 false(거짓)가 있다. 이 데이터는 주로 2개의 데이터를 비교할 때 나오는 결과이다.
특수값(null) 특수값(null) 데이터는 의도적으로 값이 없음을 명시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특수값(undefined) 특수값(undefined) 데이터는 값을 대입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심볼(symbol) 심볼(symbol) 데이터는 변경 불가능한 값이며, 다른 값과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값이다. 유일한 식별자를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한다.
객체(Object) 객체(Object) 데이터는 여러 속성을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는 데이터이다.
배열(Array) 배열(Array) 데이터는 같은 속성의 여러 자료형을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는 데이터이다.
함수(Function) 함수(Function) 데이터는 특별한 목적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독립적인 블록이다.

연산자

컴퓨터에선 다양한 연산자를 통해 계산 작업을 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하는 연산자에는 산술, 문자 결합, 대입, 증감, 비교, 논리, 삼항 조건 연산자가 있다.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에는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가 있다. 산술 연산자로 연산을 하기 위해서는 연산 대상 데이터가 2개 있어야 한다.

문자 결합 연산자

문자 결합 연산자는 피연산자(연산 대상 데이터)가 문자형 데이터이다. 여러 개의 문자를 하나의 문자형 데이터로 결합할 때 사용한다. 더하기에 피연산자로 문자형 데이터가 한 개라도 포함되어 있으면 다른 피연산자의 데이터는 자동으로 문자형 데이터로 형 변환되고 문자 결합이 이루어져 하나의 문자형 데이터를 반환 한다.

대입 연산자

대입 연산자(=)는 연산된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할 때 사용한다. 복합 대입 연산자는 산술 연산자와 대입 연산자가 복합적으로 적용된 것을 말한다.

증감 연산자

증감 연산자에는 숫자형 데이터를 1씩 증가시키는 증가 연산자(++)와 반대로 1씩 감소시키는 감소 연산자(--)가 있다. 증감연산자는 피연산자가 한 개만 필요한 단항 연산자이다.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는 두 데이터를 '크다, 작다, 같다'와 같이 비교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이다. 연산된 결괏값은 true(참) 또는 false(거짓)로 논리형 데이터를 반환한다.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에는 ||(or), &&(and), !(not)이 있으며, 논리 연산자는 피연산자가 논리형 데이터인 true 또는 false로 결괏값을 반환한다.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r문 응용하기  (0) 2022.02.02
콜백함수  (0) 2022.01.27
Javascript 기초(1)  (0) 2022.01.25
브라우저 객체 - window 객체 메서드 (1)  (1) 2022.01.20
for문을 이용해서 출력하기  (16) 2022.01.19
댓글
© 2018 webstorybo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