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CSS

position

GYChoi 2022. 3. 11. 17:04

position 속성

CSS에서 position 속성은 HTML 문서 상에서 요소가 배치되는 방식을 결정합니다. 많은 경우, position 속성은 요소의 정확한 위치 지정을 위해서 top, left, bottom, right 속성과 함께 사용됩니다.

position: static

position 속성을 별도로 지정해주지 않으면 기본값인 static이 적용됩니다. position 속성이 static인 요소는 HTML 문서 상에서 원래 있어야하는 위치에 배치됩니다. 이 말은 요소들이 HTML에 작성된 순서 그대로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가 된다는 것을 뜻하며, 따라서 top, left, bottom, right 속성값은 position 속성이 static일 때는 무시됩니다.

position: relative

position 속성을 relative로 설정하게 되면, 요소를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게 배치할 수 있게 됩니다. 요소를 원래 위치를 기준으로 상대적(relative)으로 배치해준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울 것 같은데요. 요소의 위치 지정은 top, bottom, left, right 속성을 이용해서, 요소가 원래 위치에 있을 때의 상하좌우로 부터 얼마나 떨어지게 할지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position: absolute

배치 기준을 자신이 아닌 상위 요소에서 찾습니다. DOM 트리를 따라 올라가다가 position 속성이 static이 아닌 첫 번째 상위 요소가 해당 요소의 배치 기준으로 설정되는데요. 만약에 해당 요소 상위에 position 속성이 static이 아닌 요소가 없다면, DOM 트리에 최상위에 있는 <body> 요소가 배치 기준이 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부모 요소(가장 가까운 상위 요소)를 기준으로 top, left, bottom, right 속성을 적용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떤 요소의 display 속성을 absolute로 설정하면, 부모 요소의 display 속성을 relative로 지정해주는 것이 관례입니다. 또한 position: absolute인 요소는 HTML 문서 상에서 독립되어 앞뒤에 나온 요소와 더 이상 상호작용을 하지 않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원래있던 자리는 빈자리가 되는 것입니다.

position: fixed

화면을 위아래로 스크롤하더라도 브라우저 화면의 특정 부분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UI를 본적이 있으신가요? 보통 라이브 채팅 버튼을 구현할 때 많이 쓰이는 기법인데요. position 속성을 fixed로 지정하면 이렇게 요소를 항상 고정된(fixed) 위치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fixed 속성값의 배치 기준이 자신이나 부모 요소가 아닌 뷰포트(viewport), 즉 브라우저 전체화면이기 때문인데요. top, left, bottom, right 속성은 각각 브라우저 상단, 좌측, 하단, 우측으로 부터 해당 요소가 얼마나 떨어져있는지를 결정합니다.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응형 웹이란?  (0) 2022.04.13
table 꾸미는 속성  (0) 2022.04.13
WHITE-SPACE  (0) 2022.03.11
BACKGROUND  (0) 2022.03.11
CSS 10단계  (0) 2022.02.04
댓글
© 2018 webstoryboy